본문 바로가기

돈이되는 정보5

미국 달러, 기축통화의 흔들림 신호!! 현재, 글로벌 경제 시장은 새로운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다. 인플레이션, 금리, 지정학적 리스크가 얽히고설킨 지금, 미국 달러(USD)의 가치가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들이 자산 시장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앞서 말했던 달러 인덱스, 채권, 금, 비트코인의 움직임이 바로 한가지를 딱 집어서 말해주고 있다. 바로 "달러 가치 하락"이다. 달러인덱스 급락 https://soonji.tistory.com/entry/%EC%97%94%ED%99%94-%EC%9C%A0%EB%A1%9C%ED%99%94-%EA%B0%95%EC%84%B8-%EA%B8%B0%EC%B6%95%ED%86%B5%ED%99%94-%EB%AF%B8%EB%8B%AC%EB%9F%AC%EB%8A%94-%EC%99%9C%ED%9D%94%EB%93.. 2025. 4. 23.
엔화, 유로화 강세! 기축통화 미달러는 왜흔들려? 기축통화는 단단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최근 트럼프의 관세 정책안에 숨겨진 불확실성은 달러 자체의 가치를 흔들고 있다. 그럼 기축통화가 흔들리게되면 자본은 어떻게 흘러가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기축통화의 역사초기에 미국 통화인 달러는 유한 자원인 금을 기준으로 1온스=35달러를 하는 구조였다. 2차대전 이후 미국의 엄청난 성장과 함께 닉슨 대통령때 금 태환을 중단했지만 이미 달러 중심의 금융 시스템이 깊게 자리잡은 상태였다. 그 결과 미달러는 전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통화가 되었고, 국제 무역과 외환보유에 달러 사용이 자연스업게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석유 결제 통화로 달러가 쓰이는 페트로달러 체제가 유지되고 미국의 우월한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 덕분에 아직까지도 미 달러는 기축통화의 중심에 .. 2025. 4. 18.
미국 소비와 한국 경제의 연관성이 있다고? 최근 미국 주가가 곤두박질 치면서 그 원인중 하나로 미국 소비자심리지수와의 연관성을 논하는 인사이트가 많아졌다. 미국 소비자심리지수(Consumer Sentiment Index)는 미국 소비자들의 경제 전망과 지출 의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미국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소비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대한민국 경제랑 미국 소비랑 무슨 상관이야?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상관이 없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한국은 미국 소비의 2차, 3차 공급망 중심에 있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제 / 소비 규모  총 GDP의 경우 중국, 인도, 독일, 일본의 총 GDP를 다 합쳐야 미국의 총 GDP와 비슷한 수준이다.1인당 GDP 역시 마찬가지이다.미국은 어마어마한 경제력 뿐만 아니라 소비 스케일 또한 클.. 2025. 4. 6.
미 연준의 금리 정책의 선행 지표 CPI / PCE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경제 지표중 하나는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이다. 이 물가상승률을 측정하는 두 가지 지표가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이다. 그렇다면 연준은 어떤 지표를 더 중요하게 보고 금리 정책을 결정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소비자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CPI는 미국 노동통계국(BLS)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도시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생활물가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즉, CPI는 소비자가 직접 체감하는 물가를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고 보면된다. 하지만 CPI는 소비자들이 실제로 구매하는 물품을.. 2025. 4. 2.
2025년 국민연금 개편 - 개편안 분석 여야가 2007년 이후 18년 만에, 역대 세 번째 연금개혁안을 국회에서 합의 처리했다. 따라서 2026년부터 급여에서 내는 보험료율은 9%→13%(8년간 0.5%씩 인상), 소득대체율은 40% → 43%로 변경된다. 즉 더 내고 더 받게 되는것이다. 아니 고갈 위기라면서 더 내는건 그렇다 해도 더 받는게 맞아...?국민연금 어떻게 개편되나?■ 현행 : 소득의 9% (근로자 4.5% / 기업 4.5%)■ 변경 : 13% (근로자 6.5% / 기업 6.5%) 보기 쉽게 월 100만원 소득의 근로자 기준으로 아래 표에 정리해봤다.근로자 기준 45,000원에서 65,000원으로 인상시 20,000원(약13%)이 인상되는 꼴이다. (아래 표 참고)소득이 500만원이면 국민연금 10만원 인상...ㅡㅡ (기업까지 .. 2025.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