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부동산 정보2 같은 단지, 다른 가격? 아파트 시세차이의 숨겨진 이유 아파트 시세를 보다 보면 종종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을것이다. "같은 단지, 같은 평형인데 왜 이 집은 더 비쌀까?" 결론부터 말하면, 같은 단지라도 집마다 다르게 평가받는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같은 아파트 단지 내에서 시세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정리해보자. 동 위치와 향에 따른 선호도 차이같은 평수라고 하더라도 동의 위치나 향에 따라 가격 차이가 발생한다.동 위치단지 중심부에 있는 동은 외곽 동보다 더 선호됨. 조용하고 커뮤니티 시설 이용이 용이하기 때문임.향남향 또는 남동향은 채광이 좋고 겨울에도 따뜻해서 여전히 수요가 높음. 반면 북향이나 북서향은 상대적으로 인기가 낮아 가격이 낮게 형성됨. 예로 같은 단지라도 남향 고층은 북향 저층보다 수천만 원에서 1억 이상 차이날 수 있다. .. 2025. 4. 24. 아파트 벽식 vs 기둥식 vs 무량판 구조, 뭐가 달라? 얼마전 "순살아파트" 논란으로 아파트 시공법에 대해 사회적으로 이슈가 있었다. 당시 파고파다가 삼풍백화점의 건축방법이 무량판구조의 건축 방법이었다고 논란이 많았었다. 과연 이 무량판구조가 정말 위험한지, 우리집은 어떤 구조인지 한번 쉽게 비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우선 최근 사용되는 대표적인 아파트 시공법을 알아보고, 확인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벽식 구조 ■ 내력벽으로 하중을 받는 구조- 벽이 집을 지탱해서 벽 함부로 못 뜯음. 리모델링 불리하지만 구조는 튼튼함. 판상형 아파트에서 자주 씀. ■ 장점- 구조 튼튼- 층간소음 줄어듦- 공사비 저렴 ■ 단점- 벽 못 뜯음 (리모델링 어려움)- 구조 변경 어려움- 층간소음 심함 기둥식 구조 (라멘구조) ■ 기둥+보(梁)로 하중을 받는 구조- 내력벽이 .. 2025. 4.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