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정보

아파트 벽식 vs 기둥식 vs 무량판 구조, 뭐가 달라?

by 아둥바둥 순지 2025. 4. 21.
반응형

얼마전 "순살아파트" 논란으로 아파트 시공법에 대해 사회적으로 이슈가 있었다. 당시 파고파다가 삼풍백화점의 건축방법이 무량판구조의 건축 방법이었다고 논란이 많았었다. 과연 이 무량판구조가 정말 위험한지, 우리집은 어떤 구조인지 한번 쉽게 비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우선 최근 사용되는 대표적인 아파트 시공법을 알아보고, 확인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벽식 구조 vs 기둥식 구조 vs 무량판구조
벽식 구조 vs 기둥식 구조 vs 무량판구조

 

 

벽식 구조

 

■ 내력벽으로 하중을 받는 구조

- 벽이 집을 지탱해서 벽 함부로 못 뜯음. 리모델링 불리하지만 구조는 튼튼함. 판상형 아파트에서 자주 씀.

 

■ 장점

- 구조 튼튼

- 층간소음 줄어듦

- 공사비 저렴

 

■ 단점

- 벽 못 뜯음 (리모델링 어려움)

- 구조 변경 어려움

- 층간소음 심함

 

기둥식 구조 (라멘구조)

 

■ 기둥+보(梁)로 하중을 받는 구조

- 내력벽이 거의 없어서 벽은 대부분 비내력벽임. 자유로운 공간 설계 가능.

- 주택법이 아닌 건축법 규제를 받는 주상복함, 초고층 빌딩에 적용

 

■ 장점

- 구조 변경 자유로움

- 창문, 벽 위치 마음대로 가능

 

단점

- 층간소음에 민감할 수 있음

- 보(천장 튀어나온 부분)가 생겨서 천장 깔끔하지 않을 수 있음

 

무량판 구조

 

기둥+슬래브 구조, 보가 없음 (기둥식에서 보가 빠진 구조)

- 천장이 평평해서 깔끔하고, 시공도 빠름. 요즘 아파트에서 많이 씀.

- 보가 없는 대신 철근으로 구조적 보강을 해줘야 하는데 근래 공사비 인상으로 철근을 빼먹어 이슈가 많음.

 

장점:

- 천장 매끈

- 공사 빠르고 비용 절감

- 리모델링 가능성 높음

 

단점:

- 기둥 간 거리 짧아져서 설계 제약

- 기둥 주변 슬래브 두꺼워짐 

 

내구성/안정성 비교

시공법 내구성 비교

지하주차장 천장으로 시공법 확인 하기

■ 벽식 or 기둥식

보와 보가 만나는 십자가 부분에 기둥이 있으면 무량판은 아니다!

벽식 or 기둥식 지하주차장 천장 구조

■ 무량판

보가 없고, 기둥이 천장에 바로 박혀있으면 단순 무량판 구조!

보가 없고, 기둥이 사각 블록(드롭패널)을 통해 천장에 박혀있으면 전단보강근이 필요없는 무량판 구조! 

무량판 구조의 지하주차장
무량판 구조의 지하주차장

거주 지역의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사이트 확인하기

1. 거주지역의 부동산 정보 통합 열함 사이트 접속

2. 메인화면 →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3. 주소 입력

4. 건축물정보 확인

정리

아파트 시공에 있어 공사비가 저렴한 무량판 구조의 공법은 장단점을 가진 건축 기술이다. 다만 장단점을 확실히 이해하고 올바른 보강이 더해진 시공을 해야 안전하고 실용적인 건설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가 할수있는 일은 내가 사고싶은 집 또는 내가 살고있는 집의 구조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알아보고 판단의 근거가 되는 정보들을 잘 취합해서 선택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