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기준, 원·달러 환율이 1,390원대로 하락한 주요 배경 중 하나는 미·중 무역 갈등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다. 최근 중국이 미국의 관세 협상 제안을 "평가 중"이라고 밝히면서 양국 간 긴장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와 동시에 실시간으로(05.02 한국시간 23:30분기준) 미국 본장에서는 미중 무역협상을 거부하던 중국이 태도를 바꾸자,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미중 무역갈등에서 중국의 협상 가능성 시사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제안한 관세 협상에 대해 "평가 중"이라며, 협상에 대한 문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이 부과한 145%의 고율 관세를 철회하는 등 "성의 있는 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
환율 전망
여러 전문가들의 인사이트는 미중 무역 갈등이 완화되면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에서 안정화될 가능성도 보고있다. 특히 한국이 중국과의 경제 밀접성이 큰 만큼 미국이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원화의 절상 가능성도 염두해둔 시장 반응이라 해석도 가능하다.
다른 관점에서보면, 단기적인 측면에서 한국의 연휴를 앞두고 롱 포지션 정리도 일시적인 환율 하락에 영향이 있을수 있다고 본다. 실제로 국장이 뜨거웠던 시절 보통 명절이나 긴 연휴전에 현금화를 위한 눈에 보이는 청산이 있기도 했다.
결론
2025년 5월 2일 기준 원·달러 환율의 1,300원대 진입은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 미국 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 국내 정치적 안정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이러한 환율 하락은 수입 물가 안정과 자본 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수출 기업의 수익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환율 변동에 따른 경제 전반의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식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표 유죄취지 파기환송, 무슨 뜻일까? (3) | 2025.05.01 |
---|---|
중국 보복관세 125% 부과 전망은? (1) | 2025.04.12 |
세계 증시의 폭락.. 미국 관세 정책이 뭔데? (5) | 2025.04.09 |
현대차 미국에 31조원 투자 백악관 발표 연설 의미 정리 (3)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