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4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미국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정의선 회장은 향후 4년간 총 210억 달러(약 31조 원)를 미국에 투자할 예정이며, 이는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 중 최대 규모이다.
주요 투자 내용
- 자동차 생산량 증대 : 86억 달러 규모, 조지아 공장 증설 및 시설투자 (100만대 → 120만대)
- 철강, 부품, 물류 : 61억 달러 규모,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제철소 건설 (1,300개의 일자리 창출) 하여 미국내 자동차 공급망 확보
- 미래 에너지 : 63억 달러를 투자하여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AI),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미래 신기술과 관련한 미국 기업과의 협력 강화
미국 트럼프 대통령 반응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그룹의 대규모 투자 발표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현대는 이제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며, 그 결과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 고 언급하며, 현대차의 미국 내 생산 확대를 환영함과 동시에 이번 투자가 자신의 관세 정책의 성과라고 주장하였다.
이로써 중국과의 무역 갈등속 중국의 의존도를 줄일수 있으며 미국내 제조업 강화 효과로 "미국 우선주의"라는 트럼프의 정책 기조와도 맞아떨어진다. 나아가 미국 내 생산을 늘리는 기업에 대해 무역 규제를 완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냈다고 보여진다.
현대차가 얻는것은?
현대차 주가를 보면 22만6천원의 강력한 저항선을 잠깐 뚫고 내려왔으며 24일, 25일 모두 유의미한 거래량을 나타냈다. 현대차가 미국에 상장했었더라면....자금 확보도 좀더 수월했겠지?
아무튼 미국은 세계 2위 자동차 시장으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게 가장 중요한 전략적 시장 중 하나이다. 미국 내 생산비중을 늘리면 관세 부담 없이 차량을 판매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철강 생산까지 포함한 투자 계획은 원자재부터 완성차까지 현지화가 가능함으로 미국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는 전략적 선택이다.
- 미국 시장 내 점유율 확대
- 관세 및 무역 장벽 회피
- 전기차 및 미래 모빌리티 선점
- 미국 정부 및 소비자 우호적 환경 조성
현대차 리스크는?
현대차가 미국에 31조 원을 투자하는 것은 장기적인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전략적 결정이지만, 몇 가지 잠재적인 리스크와 악영향도 존재한다.
- 국내 투자 감소에 따른 국내 관련 산업 경쟁력 약화
- 국내 일자리 감소, 기술 유출
- 미국 정책 변화 리스크 (전기차 보조금 정책, 철강 산업 규제 등)
- 환율 변동성 및 높은 인건비
결론
현대차의 미국 투자는 미래 경쟁력을 위한 필수적인 선택이지만 국내 산업 공동화, 미국 경제·정책 리스크, 생산 비용 증가, 글로벌 공급망 문제, 환율 변동성 등의 악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현대차는 국내 산업과의 균형 유지, 미국 정책 변화 대응 전략 마련, 원가 절감 및 생산 효율성 극대화,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등을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지금까지의 정의선 회장의 행보로 보아 당장의 자동차 판매보다는 미래 산업 (수소 산업, 로봇, AI, 자율주행 등)으로 사업확장에 관심이 있어 비중을 두고 투자했을거라 생각한다.
'주식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달러 환율 하락 1,300원대 돌입! (2) | 2025.05.02 |
---|---|
이재명 대표 유죄취지 파기환송, 무슨 뜻일까? (3) | 2025.05.01 |
중국 보복관세 125% 부과 전망은? (1) | 2025.04.12 |
세계 증시의 폭락.. 미국 관세 정책이 뭔데? (5) | 2025.04.09 |